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미생물 생장과 온도 (관계, 저온 및 고온 생육 미생물군)

by marrymong 2025. 10. 9.

미생물 생장과 온도

미생물 생장과 온도의 관계

주변 온도에 따라 미생물의 생장은 크게 달라집니다. 온도는 효소의 활성과 세포막의 유동성을 변화시켜서 미생물의 대사 속도와 증식 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너무 낮은 온도에서는 효소 반응이 느려지고, 너무 높은 온도에서는 단백질이 변성되어 세포 기능이 손상되거나 사멸합니다. 각 미생물은 자신이 생장할 수 있는 온도의 범위를 가지며, 이에 따라서 저온성, 중온성, 고온성 등 다양한 군으로 구분됩니다. 이는 미생물이 각 환경에 적응해 살아남은 생리적 전략이고 생태적 다양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이러한 미생물의 온도 특성은 식품의 부패, 저장, 발효와 같은 일상적 현상부터 산업 미생물의 활용, 병원성균 제어 등 실질적 분야까지 폭넓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미생물의 생장 온도에 따른 분류와 특징을 살펴보면서 온도가 미생물의 생장과 생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미생물이 생장할 수 있는 온도는 해당 미생물의 효소와 세포막이 정상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 범위로 제한됩니다. 미생물의 생장에서는 다음 세 가지 온도가 중요합니다.
 - 최저 생장온도: 이 온도 이하에서는 세포막의 특성이 변해 세포 내로 물질 전달이 불가능하므로 성장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 최적 생장온도: 효소 촉매 반응이 가장 활발하여 미생물의 성장 속도가 최고에 이르는 온도입니다. 일반적으로 넓은 온도 범위를 갖습니다.
 - 최고 생장온도: 이 온도 이상에서는 효소가 변성되어 세포 성장에 필수적인 세포 반응이 이루어지지 못하며 정상적인 세포막의 기능 수행이 어려워져 미생물 성장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세포 성장 단계 중에서도 유도기에서는 온도가 특히 중요한 역할을 미칩니다. 온도가 낮을수록 성장 속도가 느려지고 유도기가 길어집니다. 냉장 온도에 식품을 보관할 때 식품 저장 기간이 증가하는 이유가 바로 이것 때문입니다. 

 

 

저온 생육 미생물군

미생물은 생장 온도 범위를 기준으로 다섯 가지 군으로 분류됩니다; 편성 호냉균, 저온균, 중온균, 고온균, 극고온균.
편성 호냉균: 편성 호냉균은 연중 저온이 유지되는 환경에 서식합니다. 최저 생장온도는 -10 ℃ , 최적 생장온도는 약 10~15 ℃ , 최대 생장온도는 20도입니다.

저온균: 저온균은 낮은 온도에서도 생장할 수 있는 미생물인데, 겨울 기온은 낮고 여름 기온은 높은 온대기후 지역의 물과 토양에서 자랍니다. 최저 생장온도는 -10 ℃ , 최적 생장온도는 20~30 ℃ , 최대 생장온도는 42 ℃입니다. 냉장 식품의 부패와 관련된 미생물들이 주로 저온균에 속합니다. 저온균은 낮은 온도에서 생장하나 중온균은 그렇지 못하는 이유는 세포막의 구조 차이 때문입니다. 저온균은 불포화 지방산이 많아서 낮은 온도에서도 액체 유동체 상태가 유지되고 생물학적 활성 유지 및 영양소 흡수가 가능합니다.
 - 세균: Pseudomonas, Clostridium, Bacillus, Lactobacillus
 - 곰팡이: Penicillium, Aspergillus, Botrytis, Trichosporon
 - 효모: Candida, Saccharomyces, Debariomyces
중온균: 중온균은 인간을 비롯한 온혈동물의 체온과 유사한 온도에서 잘 자라는 미생물로, 열대 및 온대 기후 지역에서 자랄 수 있도록 적응되었습니다. 최저 생장온도는 5 ℃ , 최적 생장온도는 28~43 ℃ , 최대 생장온도는 52 ℃입니다.℃입니다. 대부분의 중온균은 5 ℃ 이하에서는 생장하지 못합니다. 많은 중온균은 인간처럼 최적 성장 온도가 37 ℃입니다. 대부분의 식중독균과 식품의 부패를 발생시키는 미생물이 속해있습니다. 병원성 미생물의 경우, 독소 생산에 적합한 온도가 성장에 적합한 온도와 다를 수 있습니다. 
 - Bacillus cereus,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속, Clostridium botulinum, Clostridium perfringens, Vibro parahaemolyticus, Campylobacter jejuni

 

 

고온 생육 미생물군

고온균: 고온균은 온도가 높은 환경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최저 생장온도는 30 ℃ , 최적 생장온도는 50~65 ℃ , 최대 생장온도는 70 ℃입니다. 고온균은 햇빛에 가열된 토양이나 퇴비, 저장 사료 등 고온 환경에서 발견됩니다. Bacillus stearothermophilus와 같이 높은 온도에서 통조림을 저장할 때 부패하는 원인이 되는 균들이 있습니다. 고온균이 높은 온도에서 생장할 수 있는 이유는 세포막 조성에 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아서 열에 안정적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세포 내 효소나 리보솜 등의 단백질 구조가 열에 강해 높은 온도에서도 안정적으로 기능합니다.
극고온균: 최저 생장온도는 65 ℃ , 최적 생장온도는 80~90 ℃ , 최대 생장온도는 100 ℃입니다.

미생물의 생장 온도는 단순한 생존의 한계가 아니라 그들의 대사활동 및 환경 적응력을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저온에서는 부패균 활동의 억제로 식품의 저장성이 높아지고, 반대로 고온 환경에서는 일부 고온균과 극한 미생물만이 생존하여 독특한 생태계를 이루곤 합니다. 이러한 미생물과 온도 특성에 대한 이해는 식품 보존과 위생관리뿐만 아니라 발효식품 제조, 산업용 효소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기초가 됩니다. 결론적으로 미생물의 온도 반응을 이해한다는 것은, 생명체가 환경에서 어떻게 적응하고 진화해 왔는지를 이해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