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중독원인2

식중독 (작용 원리, 감염 경로 및 전파 요인, 예방 관리) 식중독의 작용 원리와 개인적 요인어떤 식중독균이 만들어낸 장독소가 식품과 함께 섭취된다면, 장의 세포에 작용해 물과 나트륨 이온의 이동이 달라집니다. 정상적인 장내 세포는 물과 나트륨 이온을 흡수하지만, 독소가 작용하면 오히려 빠져나와 설사를 일으키게 됩니다. 또한, 장내 구토 수용체에 작용해 뇌의 구토중추를 자극해 구토 증상을 유발합니다. 사람마다 식중독 미생물이나 독소에 대한 반응은 다릅니다. 어떤 사람은 심한 증상을, 어떤 사람은 아무 증상 없이 지나가기도 합니다. 아래는 식중독에 더 잘 걸리고 증상도 더 심하게 하는 요인들입니다. - 면역 저하 상태: AIDS 환자, 장기이식 환자, 알코올 중독자, 당뇨병 환자, 약물 중독자 등 - 나이: 2세 이하의 어린아이와 고령자 - 영양: 영양 .. 2025. 10. 18.
미생물과 질병 (관계, 식품기인성 질병, 식중독의 형태) 미생물과 질병의 관계질병이란 말은 사람, 동물, 식물의 몸의 기능이나 구조에 이상이 생겨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런 변화를 일으키는 원인 중 미생물을 병원균이라고 합니다. 우리 몸의 피부나 소화관에는 평소에도 수많은 미생물이 살고 있습니다. 이들은 대부분 우리 몸과 함께 공생하며 해를 끼치지 않습니다. 오히려 병원성을 나타내는 침입균과 서식 공간과 영양소를 두고 경쟁하며, 항생물질을 만들어 침입균을 막아주는 역할도 합니다. 우리 몸에 상주하지 않는 외부 미생물에 일시적으로 감염되어도 대부분은 해롭지 않지만, 다른 병원균들은 신체 조직에 침입하거나 독소를 생산하기도 합니다. 세균이 일으키는 질병에서는 독소가 매우 중요합니다. 세균 독소는 크게 외독소와 내독소의 두 종류로 나뉩니다. 외.. 2025. 10.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