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중독예방3

바이러스성 식중독 (개요, 증상 특징, 치료와 예방) 바이러스성 식중독의 개요바이러스에 의한 식중독은 우리가 무심코 지나치는 일상 속에서도 충분히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는 세균보다 크기가 훨씬 작으며, 세포 밖에서는 증식하지 못하고 숙주 세포 내에서만 복제됩니다. 이는 대부분 입을 통한 감염으로 전파됩니다. 주된 경로는 오염된 식품이나 물, 손을 통해 병원체가 체내로 유입되는 것입니다. 가장 대표적인 예인 노로바이러스는 감염된 사람의 구토물이나 배설물에서 나온 바이러스가 손, 음식, 식기류 등에 묻어 전파됩니다. 아주 작은 양의 바이러스 입자만으로도 감염이 가능하며, 특히 학교나 병원처럼 밀폐된 공간에서 더욱 빠르게 퍼질 수 있습니다. 소량의 바이러스 입자만으로도 감염될 수 있기 때문에, 단체생활 시설이나 급식 환경에선 한 번의 오염으로 인해 대규모.. 2025. 10. 23.
식중독 세균 (인체오염형, 온도관리 미흡, 혐기성) 인체오염형 독소형 식중독 세균Staphylococcus aureus 식중독을 일으키는 세균 중 조리 과정에서 가장 흔하게 접할 수 있는 것이 황색포도상구균입니다. 손 위생 관리가 잘 안 될 때 발생하기 쉬운 대표적인 식중독균인 이 균은 포도송이처럼 둥글게 모여있는 그람양성 구균으로, 구토, 설사, 복통의 증상을 동반합니다. 잠복기는 1~6시간, 증상은 수 시간에서 3일 정도까지도 지속됩니다. 이 균이 음식 속에서 자라면서 장독소를 분비하는데, 그 장독소를 섭취하여 식중독을 일으킵니다. 전체 인구 중 약 30~50% 정도의 코와 목에 보균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손에는 15% 정도인데, 병원 근무자나 환자는 80% 이상일 정도로 높습니다. 이 균은 사람뿐 아니라 가축에서도 발견되며, 특히 소와 염소의.. 2025. 10. 20.
식중독 (작용 원리, 감염 경로 및 전파 요인, 예방 관리) 식중독의 작용 원리와 개인적 요인어떤 식중독균이 만들어낸 장독소가 식품과 함께 섭취된다면, 장의 세포에 작용해 물과 나트륨 이온의 이동이 달라집니다. 정상적인 장내 세포는 물과 나트륨 이온을 흡수하지만, 독소가 작용하면 오히려 빠져나와 설사를 일으키게 됩니다. 또한, 장내 구토 수용체에 작용해 뇌의 구토중추를 자극해 구토 증상을 유발합니다. 사람마다 식중독 미생물이나 독소에 대한 반응은 다릅니다. 어떤 사람은 심한 증상을, 어떤 사람은 아무 증상 없이 지나가기도 합니다. 아래는 식중독에 더 잘 걸리고 증상도 더 심하게 하는 요인들입니다. - 면역 저하 상태: AIDS 환자, 장기이식 환자, 알코올 중독자, 당뇨병 환자, 약물 중독자 등 - 나이: 2세 이하의 어린아이와 고령자 - 영양: 영양 .. 2025. 10.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