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품공학22

미생물과 질병 (관계, 식품기인성 질병, 식중독의 형태) 미생물과 질병의 관계질병이란 말은 사람, 동물, 식물의 몸의 기능이나 구조에 이상이 생겨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런 변화를 일으키는 원인 중 미생물을 병원균이라고 합니다. 우리 몸의 피부나 소화관에는 평소에도 수많은 미생물이 살고 있습니다. 이들은 대부분 우리 몸과 함께 공생하며 해를 끼치지 않습니다. 오히려 병원성을 나타내는 침입균과 서식 공간과 영양소를 두고 경쟁하며, 항생물질을 만들어 침입균을 막아주는 역할도 합니다. 우리 몸에 상주하지 않는 외부 미생물에 일시적으로 감염되어도 대부분은 해롭지 않지만, 다른 병원균들은 신체 조직에 침입하거나 독소를 생산하기도 합니다. 세균이 일으키는 질병에서는 독소가 매우 중요합니다. 세균 독소는 크게 외독소와 내독소의 두 종류로 나뉩니다. 외.. 2025. 10. 17.
식품의 부패 (일반적 변화, 부패 과정, 육류의 부패) 식품의 부패의 일반적 변화부패 미생물이 자라면 식품의 겉모양, 색, 냄새, 조직감 등이 달라지며 결국 소비자가 먹기 힘든 상태로 변질됩니다. 외형 변화: 외형 변화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하나는 썩은 과일 표면처럼 곰팡이 균사가 자라 솜털처럼 보이는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세균이 증식해 육류 표면이 끈적해지는 경우입니다. 색 변화: 색 변화는 미생물 또는 화학적 변화에 의해서 변화합니다. 먼저 미생물은 색소를 만들어 식품의 색을 바꾸기도 합니다. 곰팡이 포자는 색을 띠며 균사체를 성장하기도 하면서 식품 표면의 색을 바꿉니다. 일부 세균은 수용성 색소를 생성해 식품의 색을 바꾸기도 합니다. 어떤 미생물은 화학반응을 일으켜 색이 바뀌게 합니다. Proteus 속 세균은 황화수소를 만들어 달걀의.. 2025. 10. 17.
보존료 (주요 보존료, 허들기술, 보존기간 설정) 주요 보존료식품의 부패를 억제하고 저장성을 높이기 위해 여러 종류의 보존료가 사용됩니다. 보존료는 미생물의 생장에 직접 작용하는 항균물질과 식품 내 환경을 변화시켜 간접적으로 미생물 생장을 억제하는 물리화학적 인자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항생물질: 니신은 Lactococcus lactis라는 유산균이 만들어내는 펩타이드 항균물질로, 영국 등 여러국가에서 인정돼 식품 보존료로 사용되는 가장 중요한 항생제입니다. Clostridium botulinum, Bacillus 속, Listeria 속, Staphylococcus와 같은 식중독균을 억제합니다. 주로 가공치즈나 통조림 식품에서 사용되어 포자의 생장을 막습니다. 염화나트륨: 염화나트륨은 식품 내 수분활성에 영향을 주어 보존료 효과를 줍니다. 이산화탄소:.. 2025. 10. 15.
소독제의 효과, 보존료 (유기산류, 무기음이온계) 소독제의 효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식품 산업에서 위생을 위해 사용되는 소독제의 효과에는 여러 가지 인자들이 영향을 줍니다. 농도: 농도가 높을수록 일반적으로 효과가 증가합니다. 접촉시간: 소독제의 접촉 시간이 길수록 사멸하는 균의 수는 많아지고, 짧을수록 항균 효과가 떨어집니다. pH: 차아염소산은 산성에서 비해리 상태로 존재해 미생물 세포 안으로 잘 침투하고, 세포 내 산화반응을 통해 세포의 대사를 억제합니다. 따라서 pH가 낮을수록 살균효과가 커지고, 알칼리 상태에서는 그 효과가 감소합니다. 유기물의 존재: 소독제의 효력은 환경에 존재하는 유기물에 의해 떨어질 수 있습니다. 강한 산화제는 주변의 유기물과 먼저 반응하므로, 실제 미생물에 작용할 수 있는 유효 농도가 줄어듭니다. 따라서 염소 소독 시에는.. 2025. 10. 15.
항균성 화학약품 (분류, 살균 및 소독용, 보존 및 세정용) 항균성 화학약품의 개요와 분류항균성 화학약품에는 페놀, 알코올, 알데하이드, 중금속, 페록사이드, 알킬류 가스, 유기산, 할로겐, 음이온 세척제, 알칼리, 오존, 항생물질, 항균제 등이 있습니다. 이들 중 일부만이 식품 또는 식품 접촉 표면에 제한적으로 사용됩니다. 식품에 이용되는 화학약품은 인체에 무해한 농도여야 하고 첨가되었을 때 식품의 주요 특성이 변화되면 안 됩니다. 살균제는 비생물 표면에 사용하는 항균제를 뜻하는데, 피부 등 인체 조직에는 위험할 수 있어 식품 섭취에서는 위험 요인이 됩니다. 위생제는 식품산업 현장에서 미생물의 수를 현저히 줄이기 위해 사용합니다. 살균제는 본래 질병을 발병시키는 미생물을 죽이는 화학약품을 지칭하는데, 공중위생에서 넓은 의미로 사용되며 위생제와 거의 같은 뜻으로.. 2025. 10. 13.
미생물의 열처리 (내열성, D값과 Z값, 식품 살균법) 미생물의 열처리과 내열성의 개념식품 내 미생물은 일정 시점 이후 증식이 멈추고, 이어 사멸 단계로 접어들어 개체 수가 감소합니다. pH 변화, 대사의 부산물로 만들어지는 독성 물질, 양분의 소모, 산소의 결핍(호기성균), 낮은 수분 활성도, 방사선, 온도 변화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미생물의 치사 기준은 비가역적으로 파괴되어 생장과 증식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을 때로 봅니다. 미생물이 완전히 사멸했는지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세포가 손상되더라도 회복이 가능하면 다시 생육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면, 미생물을 열처리해 아미노산 합성 효소가 손상되면 치명적이지만, 아미노산을 공급받으면 그 미생물은 효소를 만들어내 대사 능력을 회복하여 증식할 수 있습니다. 미생물이 열에 얼마나 강한지를 정확히 .. 2025. 10.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