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품미생물학25

식중독 (작용 원리, 감염 경로 및 전파 요인, 예방 관리) 식중독의 작용 원리와 개인적 요인어떤 식중독균이 만들어낸 장독소가 식품과 함께 섭취된다면, 장의 세포에 작용해 물과 나트륨 이온의 이동이 달라집니다. 정상적인 장내 세포는 물과 나트륨 이온을 흡수하지만, 독소가 작용하면 오히려 빠져나와 설사를 일으키게 됩니다. 또한, 장내 구토 수용체에 작용해 뇌의 구토중추를 자극해 구토 증상을 유발합니다. 사람마다 식중독 미생물이나 독소에 대한 반응은 다릅니다. 어떤 사람은 심한 증상을, 어떤 사람은 아무 증상 없이 지나가기도 합니다. 아래는 식중독에 더 잘 걸리고 증상도 더 심하게 하는 요인들입니다. - 면역 저하 상태: AIDS 환자, 장기이식 환자, 알코올 중독자, 당뇨병 환자, 약물 중독자 등 - 나이: 2세 이하의 어린아이와 고령자 - 영양: 영양 .. 2025. 10. 18.
미생물과 질병 (관계, 식품기인성 질병, 식중독의 형태) 미생물과 질병의 관계질병이란 말은 사람, 동물, 식물의 몸의 기능이나 구조에 이상이 생겨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런 변화를 일으키는 원인 중 미생물을 병원균이라고 합니다. 우리 몸의 피부나 소화관에는 평소에도 수많은 미생물이 살고 있습니다. 이들은 대부분 우리 몸과 함께 공생하며 해를 끼치지 않습니다. 오히려 병원성을 나타내는 침입균과 서식 공간과 영양소를 두고 경쟁하며, 항생물질을 만들어 침입균을 막아주는 역할도 합니다. 우리 몸에 상주하지 않는 외부 미생물에 일시적으로 감염되어도 대부분은 해롭지 않지만, 다른 병원균들은 신체 조직에 침입하거나 독소를 생산하기도 합니다. 세균이 일으키는 질병에서는 독소가 매우 중요합니다. 세균 독소는 크게 외독소와 내독소의 두 종류로 나뉩니다. 외.. 2025. 10. 17.
식품의 부패 (일반적 변화, 부패 과정, 육류의 부패) 식품의 부패의 일반적 변화부패 미생물이 자라면 식품의 겉모양, 색, 냄새, 조직감 등이 달라지며 결국 소비자가 먹기 힘든 상태로 변질됩니다. 외형 변화: 외형 변화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하나는 썩은 과일 표면처럼 곰팡이 균사가 자라 솜털처럼 보이는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세균이 증식해 육류 표면이 끈적해지는 경우입니다. 색 변화: 색 변화는 미생물 또는 화학적 변화에 의해서 변화합니다. 먼저 미생물은 색소를 만들어 식품의 색을 바꾸기도 합니다. 곰팡이 포자는 색을 띠며 균사체를 성장하기도 하면서 식품 표면의 색을 바꿉니다. 일부 세균은 수용성 색소를 생성해 식품의 색을 바꾸기도 합니다. 어떤 미생물은 화학반응을 일으켜 색이 바뀌게 합니다. Proteus 속 세균은 황화수소를 만들어 달걀의.. 2025. 10. 17.
부패 식품 (정의와 특징, 식품의 오염, 부패 원인균) 부패 식품의 정의와 특징부패 식품이란 맛, 냄새, 모양, 이물질, 조직감 등으로 인해 소비자가 먹기 꺼리는 식품을 말합니다. 즉, 냄새나 겉모습만으로도 상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부패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미생물의 성장으로 인한 변화는 가장 일반적이고 중요한 부패 원인입니다. 화학적 변화로는 지방이 산화되면서 비린내가 나는 산패가 발생하거나 과일이 산소와 닿아 갈색으로 변화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 외에 수분 변화로 인한 신선도 감소, 냉동상, 과숙, 이물질 혼입, 세정제 등 화학물질 오염이 있습니다. 자연 상태의 식품은 시간이 지나면서 미생물이 자라기 쉬운 환경이 되면 부패가 시작됩니다. 부패된 식품은 미생물이 작용해서 성분이 분해됩니다. 이 과정에서 탄소, 질.. 2025. 10. 16.
보존료 (주요 보존료, 허들기술, 보존기간 설정) 주요 보존료식품의 부패를 억제하고 저장성을 높이기 위해 여러 종류의 보존료가 사용됩니다. 보존료는 미생물의 생장에 직접 작용하는 항균물질과 식품 내 환경을 변화시켜 간접적으로 미생물 생장을 억제하는 물리화학적 인자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항생물질: 니신은 Lactococcus lactis라는 유산균이 만들어내는 펩타이드 항균물질로, 영국 등 여러국가에서 인정돼 식품 보존료로 사용되는 가장 중요한 항생제입니다. Clostridium botulinum, Bacillus 속, Listeria 속, Staphylococcus와 같은 식중독균을 억제합니다. 주로 가공치즈나 통조림 식품에서 사용되어 포자의 생장을 막습니다. 염화나트륨: 염화나트륨은 식품 내 수분활성에 영향을 주어 보존료 효과를 줍니다. 이산화탄소:.. 2025. 10. 15.
소독제의 효과, 보존료 (유기산류, 무기음이온계) 소독제의 효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식품 산업에서 위생을 위해 사용되는 소독제의 효과에는 여러 가지 인자들이 영향을 줍니다. 농도: 농도가 높을수록 일반적으로 효과가 증가합니다. 접촉시간: 소독제의 접촉 시간이 길수록 사멸하는 균의 수는 많아지고, 짧을수록 항균 효과가 떨어집니다. pH: 차아염소산은 산성에서 비해리 상태로 존재해 미생물 세포 안으로 잘 침투하고, 세포 내 산화반응을 통해 세포의 대사를 억제합니다. 따라서 pH가 낮을수록 살균효과가 커지고, 알칼리 상태에서는 그 효과가 감소합니다. 유기물의 존재: 소독제의 효력은 환경에 존재하는 유기물에 의해 떨어질 수 있습니다. 강한 산화제는 주변의 유기물과 먼저 반응하므로, 실제 미생물에 작용할 수 있는 유효 농도가 줄어듭니다. 따라서 염소 소독 시에는.. 2025. 10. 15.